[데브코스] 4일차 TIL
공부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데브코스
TIL
자료구조
알고리즘
2022-03-24

들어가며

오늘도 자료구조에 대해 공부한다. 자료구조를 공부하면서 지금까지 내가 부족했던 부분을 채우는 느낌이 들어 기분이 좋다.

나중에 들어간 값이 먼저 나오는 스택과 다르게, 먼저 들어간 값이 먼저 나오는 FIFO(First In First Out) 자료구조이다. 일상생활에서 줄 서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PCR을 받기 위해 보건소에 줄을 서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먼저 와서 기다린 맨 앞에 있는 사람은 검사를 받기 위해 나갈 것이고 늦게 온 사람은 줄의 맨 뒤에 서서 기다릴 것이다. 큐도 같다. 먼저 들어온 데이터는 먼저 나가고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는 나중에 나간다. 큐에 데이터를 넣는 것을 enqueue, 데이터를 빼는 것을 dequeue라고 한다.

큐는 선형 큐원형 큐로 나뉜다.

  • 선형 큐: 기본적인 형태의 큐이다. 선형 큐는 배열 또는 연결 리스트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코드를 살펴보자.

    1 class Queue {
    2 constructor() {
    3 this.queue = [];
    4 this.front = 0;
    5 this.rear = 0;
    6 }
    7
    8 enqueue(value) {
    9 this.queue[this.rear++] = value;
    10 }
    11
    12 dequeue() {
    13 const value = this.queue[this.front];
    14 delete this.queue[this.front];
    15 this.front++;
    16 return value;
    17 }
    18 }
    19
    20 const queue = new Queue();
    21 queue.enqueue(1); // [1]
    22 queue.enqueue(2); // [1, 2]
    23 queue.enqueue(3); // [1, 2, 3]
    24 queue.enqueue(4); // [1, 2, 3, 4]
    25 console.log(queue.dequeue()); // 1 [2, 3, 4]
    26 console.log(queue.dequeue()); // 2. [3, 4]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을 사용해 큐를 구현했다. 배열을 사용해 구현을 하면 dequeue 했을 때, 배열의 앞부분에 빈 공간이 생기고 enqueue를 했을 때 배열의 크기가 무한정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요즘은 메모리 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면 된다. 기존에 연결 리스트 구현하는 방법에서 Head가 Front, Tail이 Rear라는 점만 알아두면 될 것 같다.

    조심할 것!

    구글에 자바스크립트 배열로 구현한 큐의 코드를 보면 배열의 shift 메서드를 사용한 예제를 볼 수 있다. 동작은 제대로 하지만 shift는 자동으로 배열의 빈 공간을 없애기 때문에 O(n)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올바르게 큐를 사용하기 위해선 front와 rear 변수를 사용해 구현하는 것을 권장한다.

큐 실습

큐 실습은 프로그래머스의 프린터 문제를 풀면서 진행했다. 예전에 코딩테스트 공부할 때 풀었던 문제였는데, 처음 푸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예전에 풀었던 코드와 오늘 다시 푼 코드를 비교해보았다.

  • 오늘 푼 코드

    1 class Queue {
    2 constructor() {
    3 this.queue = [];
    4 this.front = 0;
    5 this.rear = 0;
    6 }
    7
    8 enqueue(value) {
    9 this.queue[this.rear++] = value;
    10 }
    11
    12 dequeue() {
    13 const value = this.queue[this.front];
    14 delete this.queue[this.front++];
    15 return value;
    16 }
    17
    18 priorCheck(e) {
    19 // 큐에 우선순위가 더 높은 파일이 있는지 확인
    20 for (let i = this.front; i < this.rear; i++) {
    21 if (this.queue[i].value > e) {
    22 return false;
    23 }
    24 }
    25 return true;
    26 }
    27
    28 isEmpty() {
    29 // 큐가 비어 있는지 확인
    30 return this.queue.length === 0;
    31 }
    32 }
    33
    34 function solution(priorities, location) {
    35 const queue = new Queue();
    36 priorities.map((e, i) => queue.enqueue({ value: e, index: i }));
    37 let count = 0;
    38 while (!queue.isEmpty()) {
    39 const e = queue.dequeue();
    40 if (!queue.priorCheck(e.value)) {
    41 queue.enqueue(e);
    42 } else {
    43 count++;
    44 if (e.index === location) {
    45 return count;
    46 }
    47 }
    48 }
    49 }
  • 예전에 푼 코드

    1 function solution(priorities, location) {
    2 let answer = 0;
    3 let count = 0;
    4 let queue = priorities.map((value, index) => {
    5 return { isLocation: index === location, value: value };
    6 });
    7
    8 while (queue.length) {
    9 let current = queue.shift();
    10
    11 if (queue.some((item) => item.value > current.value)) {
    12 queue.push(current);
    13 } else {
    14 count++;
    15 if (current.isLocation) {
    16 answer = count;
    17 break;
    18 }
    19 }
    20 }
    21 return answer;
    22 }

예전에 풀었던 코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풀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한참을 들여다 봤다. 예전에 문제를 풀려고 했지만 어떻게 풀어야 할 지 몰라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고해 풀었던 것 같다. 배열을 큐로 사용하고 enqueue는 push, dequeue는 shift 메서드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예전 코드가 좀 더 짧긴 하지만 한 눈에 알아보기 어려웠고, shift 메서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실행 시간이 오늘 작성한 코드보다 좀 더 길었다. 예전에는 못 풀었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서 뿌듯했다.

해시 테이블

해시 테이블은 사물함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할 것 같다. 키와 값을 받아 키를 해싱하여 나온 index에 값을 저장하는 선형 자료구조로, 삽입은 O(1)의 시간이 걸리고 삭제와 탐색 또한 키를 알고 있으면 O(1)로 수행 가능하다.

해시함수란?

입력 받은 값을 특정 범위 내 숫자로 변경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에 키를 넣어 값을 반환받는 과정을 해싱이라고 한다.

그런데 해시 함수의 범위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운이 나쁘면 다른 키를 해싱 하더라고 같은 값을 반환할 수 있다. 이 상황을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라고 한다. 이때 해결하는 방법으로 크게 4가지가 있는데 선형 탐사법, 제곱 탐사법, 이중 해싱, 분리 연결법이다.

  1. 선형 탐사법: 충돌이 발생하면 인덱스를 한 칸 옆으로 이동해 저장한다. 바로 인접한 인덱스에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밀집되는 클러스터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제곱 탐사법: 충돌이 발생한 횟수의 제곱만큼 옆으로 이동한다. 좀 더 효율적이지만 초기 해시값이 같을 경우 역시 클러스터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이중 해싱: 충돌이 발생하면 값을 다시 다른 해시 함수에 넣어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4. 분리 연결법: 버킷을 연결 리스트로 사용한다. 충돌이 발생하면 같은 버킷에 연결 리스트 형태로 값을 저장한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하나의 버킷에 무한대로 추가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1. 배열을 해시 테이블처럼 사용하는 방법. 이는 추천하지 않는다.
  2. 객체 사용. 제일 간단하고 정석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다.
  3. Map 사용. Map은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아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부터 먼저 찾아봐야 할 것 같다.
  4. Set 사용. Set은 배열에서 중복되는 요소를 제거할 때 사용한 것 말고는 사용해 본 적이 없다

해시 테이블 실습으로 프로그래머스의 베스트앨범 문제를 풀어보았다. 사실 풀지 못하고 해설을 보고 깨달았다. 거의 코드 한줄 한줄 복붙하면서 풀었기 때문에 꼭 다시 스스로 문제를 풀어봐야겠다.

1 function solution(genres, plays) {
2 const hash = {};
3 genres = genres
4 .map((item, index) => [item, plays[index]])
5 .forEach(([genre, play], index) => {
6 const data = hash[genre] || { total: 0, songs: [] };
7 hash[genre] = {
8 total: data.total + play,
9 songs: [...data.songs, [play, index]]
10 .sort((a, b) => b[0] - a[0])
11 .slice(0, 2),
12 };
13 });
14 return Object.entries(hash)
15 .sort((a, b) => b[1].total - a[1].total)
16 .flatMap((item) => item[1].songs)
17 .map((item) => item[1]);
18 }

위 코드는 내가 해설 강의를 보고 나중에 다시 풀어본 코드이다. 푸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genresplays 를 하나씩 묶어준다.
  2.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묶은 배열을 순회하면서 같은 장르끼리 해시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재생시간의 합인 total 변수와 각 노래의 재생 시간, 고유 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song 변수를 만들어준다. 이때 song 변수를 저장할 때, 재생 시간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고 두 개의 노래만 남겨두는 과정을 진행한다.
  3. 해시 테이블을 전체 재생 시간 순으로 내림차순 정렬하기 위해 배열로 변경한다. (sort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해)
  4. 전체 재생 시간이 높은 순서로 정렬한다.
  5. 정렬한 배열을 순서대로 순회하면서 song 값을 반환한다.

정리해도 어려운 것 같다😥

새로 알게된 것

  1. flatMap 이라는 메서드를 새로 알게 됐다. 사용법은 map과 같은데 배열을 반환할 때 새로운 배열로 평탄화한다. 아마 자주 쓰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2. forEach와 map의 차이 forEach와 map의 차이점은 반환하는 값이 있는지가 다른 것 같다. forEach는 순회하면서 해야할 작업이 있을 때 사용하고, map은 반환해야 할 배열이 있을 때 사용한다.

그래프

그래프는 정점(Node)과 정점 사이를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정점 집합과 간선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제 사용되는 예시로 지하철 노선도,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 등이 있다. 그래프는

  • 한 정점은 여러개의 간선을 가질 수 있고
  • 크게 방향 그래프와 무방향 그래프로 나뉘고
  • 간선은 가중치를 가질 수 있고
  • 사이클이 발생할 수 있다

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프의 종류

그래프의 종류는 간선의 방향에 따라 방향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로 나눌 수 있고 정점의 연결 상태에 따라 연결 그래프, 비연결 그래프, 완전 그래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무방향 그래프: 간선으로 이어진 정점끼리 양방향 이동 가능
  • 방향 그래프: 간선에 방향성이 존재
  • 연결 그래프: 모든 정점이 서로 이동 가능
  • 비연결 그래프: 특정 정점쌍 사이에 간선이 존재하지 않음
  • 완전 그래프: 모든 정점끼리 연결

자바스크립트에서 그래프를 구현할 때 인접 행렬을 사용하거나 인접 리스트를 사용한다.

정리

코딩테스트 문제를 푸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과 동시에 자바스크립트를 좀 더 익숙하게 다루는 연습도 되고,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공부할 수도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앞으로 배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도 많이 남았는데 열심히 공부해서 필요할 때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

참고자료

forEach와 map 함수의 차이 https://velog.io/@limes/Javascript-Array-Method-for-each-%EC%99%80-map%ED%95%A8%EC%88%98%EC%9D%98-%EC%B0%A8%EC%9D%B4
MDN flatMap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Array/flatMap
해시 테이블 https://baeharam.github.io/posts/data-structure/hash-table/
그래프 https://leejinseop.tistory.com/43

Loading script...